장애에 구애없이 모든 사람이 공평하게 접근할 수 있는 것....
장애앤.고령자 등을 포함한 다양한 사용자가 웹사이트에서 제공하는 모든 정보를 동등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것.
웹접근성 준수 고려사항
- 시각 실명. 색각 이상, 다양한 형태의 저시력을 포함한 시각 장애
노인 및 저시력자의 정보 이해를 위해 색상대비를 준수필요 - 이동성 파킨슨병, 뇌성마비, 근육병, 뇌졸증과 같은 조건으로 인해서 근육 속도 저하, 근육 제어 손실 등으로 손을 쓰기 어렵거나 쓸 수 없는 상태
키보드만으로도 홈페이지에 접근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사용성 보장 필요 - 청각 영상, 음성 콘텐츠에 자막, 원고, 수화 등의 대체수단 부제로 인한 인식이 불가능한 상태
이미지에 대한 적절한 대체 텍스트 제공, 화면과 동일한 정보를 인식할 수 있도록 자막 텍스트 지원 - 인지 문제 해결과 논리 능력, 집중력, 기억력에 문제가 있는 정신 지체 및 발달 장애, 학습 장애(난독증, 난산증 등)
웹브라우징에 쓰이는 보조고학기술
- 스크린 리더
- 화면 확대 도구
- 음성 인식
- 키보드 오버레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