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Q. 지금 현재 나의 홈페이지 트래픽 사용량을 확인할수 있나요?
    • 네. 확인할수 있습니다.


      http://자신의도메인주소/~ID/throttle-me 
      에 접속하시면, 실시간으로 트래픽 사용량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전송량 모니터링]을 참고하여, 전송량 초과에 의해 홈페이지가 막히지 않도록 
      (스트리밍의 경우동영상 서비스중단)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 약정한 트래픽용량에 대한 사용량 
         sent   => 사용한 트래픽용량(KBytes) 
         Limit  => 약정한 트래픽용량(한계전송량)



      [ 일반 웹호스팅의 경우 ] 
      실시간 전송량 확인 : 도메인/ID/throttle-me 

      [ 스트리밍 호스팅의 경우 ]  

      실시간 전송량 확인 : id.365ok.kr/id/throttle-me 

  • Q. 페이지를 찾을수 없다고 뜹니다. 왜그런가요?
    • ftp로 파일을 모두 올렸는데도 페이지를 찾을 수 없다고 뜰 때는, 다음과 같은 이유가 있습니다.


      1. 고객님의 ftp계정으로 접속을 하면 www폴더가 열립니다. 
          간혹 이 www폴더를 삭제하시는 분이 계십니다. www폴더를 절대 삭제하시면 안되시며, 
          www폴더 안에 모든 홈페이지 파일을 넣어 주셔야 합니다. 
          혹 삭제 하셨다면 폴더를 하나 만드시고, 폴더 이름을 www로 해주시면 됩니다. 
          만약 www폴더 안에 img라는 폴더를 만들고, abc.gif라는 파일을 넣었다면, 
          이 파일의 경로는 http://도메인/img/abc.gif가 됩니다. 
          www라는 폴더는 기본으로 인식하기 때문입니다. 

      2. 인덱스 파일이 없는 것은 아닌가요? 
          고객님의 도메인으로 접속했을때 맨처음 뜨는 페이지의 파일 이름은 반드시 index이어야 합니다. 
          (index.html/index.htm/index.php 등등..) 
          간혹 첫페이지 이름을 main.html이나 default.html로 지정하시는 분이 있습니다. 
          이럴경우 http://도메인/main.html로 하면 접속이 되나, http//도메인..만 하시면 페이지를 찾을 
          수없다고 뜨게 되는 것입니다. 

          위의 1번과 2번의 경우는 ftp접속은 가능하며 웹페이지가 뜨지 않는 경우입니다. 

      3. 신규도메인을 신청하셨나요? 
          신규도메인을 신청하였을때는 신규도메인 등록기간이 1~2일이 소요됩니다. 따라서 1~2일 후에 
          접속이 가능합니다. 

      4. 보유도메인으로 호스팅을 신청했을때는 보유도메인의 네임서버가 365ok호스팅의 
      네임서버로 변경되어 있는지를 확인해주세요.
       
          네임서버 변경후 약 24시간이 경과하여야 정상적으로 접속이 됩니다. 
       

         3번과 4번은 ftp/ssh/web 모두 접속이 되지 않는 경우 입니다. 

  • Q. 보안서버는 무엇이고, 구축하지 않으면 어떻게 되나요?
    • 클라이언트와 서버간의 통신내용을 암호화해 줍니다.


      보안서버란 사이트 이용자들이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아이디, 비밀번호, 결제 등의 개인정보를 입력시 개인PC와 웹사이트 간의 통신을 암호화하여 개인정보의 유출을 방지해 주는 보안서비스입니다.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에 의해 보안서버가 구축되지 않은 사이트에 대해

      최대 3천만원 이하의 과태료 등 행정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 Q. 보안서버의 구축은 의무인가요? 보안서버와 관련된 규정은 어떤 것이 있나요?
    • 보안서버는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모든 사이트에서 의무적으로 구축되어야 합니다.


      1.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 제28조(개인정보의 보호조치) 
      정보통신서비스 제공자등이 개인정보를 취급할 때에는 개인정보의 분실·도난·누출·변조 또는 훼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준에 따라 다음 각 호의
      기술적·관리적 조치를 하여야 한다.
       <전문개정 2008.6.13> 

      - 제76조(과태료) 
      ①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와 제7호부터 제11호까지의 경우에 해당하는 행위를 하도록 한 자에게는 3천만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한다. <개정 2011.3.29, 2012.2.17>


      2. 
      정보통신망이용촉진및정보보호등에관한법률 시행법

      -제15조(개인정보의 보호조치)
       ①법 제28조제1항제1호에 따라 정보통신서비스 제공자등은 개인정보
      의 안전한 취급을 위하여 다음 각 호의 내용을 포함하는 내부관리계획을 수립·시행하여야 한다.

      (3. 정보통신망을 통하여 이용자의 개인정보 및 인증정보를 송신·수신하는 경우 보안서버 구축 등의 

      조치) 


       



      3. 정보통신망이용촉진및정보보호등에관한법률 시행규칙

      - 제9조(개인정보의 보호조치) 
      ① 법 제28조제1항 및 제67조제1항에 따른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관리적 조치는 다음
       각 호와 같다.
        

      1. 개인정보의 안전한 취급을 위한 내부관리계획의 수립 및 시행 

      2. 개인정보 관리책임자의 의무와 책임을 규정한 내부 지침 마련 

      3. 개인정보의 안전한 보관을 위한 잠금장치 등 물리적 접근방지 조치 

      4.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정기적인 자체 감사 실시 

      5. 그 밖에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관리적 보호조치
       

      ② 법 제28조제1항 및 제67조제1항 따른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기술적 조치는 다음

       각 호와 같다.



      1.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을 확인하기 위한 식별 및 인증 조치

      2. 개인정보에 대한 권한 없는 접근을 차단하기 위한 암호화와 방화벽 설치 등의 조치

      3. 접속기록의 위조·변조 방지를 위한 조치

      4. 침해사고 방지를 위한 보안프로그램의 설치 및 운영

      5. 그 밖에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기술적 보호조치



      ③ 행정안전부장관은 업종별 특성을 반영하여 제1항 및 제2항 각 호에 따른 보호조치의 구체적인 기준을 정하여 고시할 수 있다. 



      4. 개인정보의 기술적·관리적 보호조치 기준

      - 제6조(개인정보의 암호화) 

      ③ 정보통신서비스 제공자등은 정보통신망을 통해 이용자의 개인정보 및 인증정보를 송·수신할 때에는 안전한 보안서버 구축 등의 조치를 통해 이를 암호화해야 한다. 보안서버는 다음 각 호 중 하나의 기능을 갖추어야 한다. 

      1. 웹서버에 SSL(Secure Socket Layer) 인증서를 설치하여 전송하는 정보를 암호화하여 송·수신하는 기능 

      2. 웹서버에 암호화 응용프로그램을 설치하여 전송하는 정보를 암호화하여 송·수신하는 기능 

  • Q. 특정 IP 홈페이지 접속 차단 하기
    • 고객님께서 홈페이지에 특정 아이피로 과도한 접속이 있거나 접속을 원치 않을 경우 직접 아이피 막기를 설정하실 수 있습니다. 


      www 폴더 안에 .htaccess 파일을 설정하신 다음 아래 내용을 넣어주시면 됩니다.
      (주의: 파일 이름을 글자 그대로 [.htaccess]라고 지정하셔야 합니다.) 

      (만약 123.45.123.45 를 막는다고 할때) 

      SetEnvIfNoCase remote_addr 123.45.123.45 go_out 
      Order allow,deny 
      Allow from all 
      Deny from env=go_out 
      1364284065_58.jpg
       
      ◆ 특정 영역대의 아이피를 차단 할 경우

      만약 123.45.123.1 ~ 123.45.123.255 를 막으시려면 
      123.45.123.45 부분을 아래와 같이 123.45.123. 라고 입력하시면 됩니다. 

      SetEnvIfNoCase remote_addr 123.45.123. go_out 
      Order allow,deny 
      Allow from all 
      Deny from env=go_out 

      ◆ 123.45.123.1 아이피외 123.45.123.2 를 추가로 막을 경우

      SetEnvIfNoCase remote_addr 123.45.123.1 go_out 
      SetEnvIfNoCase remote_addr 123.45.123.2 go_out 
      Order allow,deny 
      Allow from all 
      Deny from env=go_out 

      이와 같이 추가해주시면 됩니다.  

  • Q. 계정 내 특정폴더 외부접속 차단 방법(특정아이피로 접근 포함)(PHP)
    • 고객님의 계정내에 있는 특정폴더로의 외부접속을 차단하고 싶으실 경우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해보실 수 있습니다.


      ■특정폴더에 외부접근 차단 방법

      1.메모장을 열고 아래의 내용을 적어넣고 파일명을 [.htaccess]로 저장합니다.

      deny from all
       
      1364284219_64.jpg
       
      2.ftp로 고객님의 계정에 접속하신 후 위에서 만든 파일을 고객님께서 외부접근을 차단하려는 해당 폴더에 업로드 해 줍니다.

      예)www아래의 test라는 폴더의 외부접근을 차단하려는 경우
       
      1364284260_64.jpg
       
      마찬가지로 해당 계정내의 모든 파일의 외부접근을 차단하고 싶으실 경우에는 위에서 만드신 파일을
      직접 www폴더안에 업로드해 주시면 되십니다.

      ■특정폴더에 특정아이피만 접근하게 하는 방법

      1.메모장을 열고 아래의 내용을 적어넣은 후 파일명을 [.htaccess]로 저장합니다.

      Order deny,allow
      Deny from all
      Allow from 000.000.000.000

      000.000.000.000부분에 고객님께서 설정하시려는 아이피를 적어넣습니다.

      ※여러개의 아이피를 설정하려는 경우에는아래의 형식으로 계속 추가해 주시면 되십니다.

      Order deny,allow
      Deny from all
      Allow from 000.000.000.000
      Allow from 000.000.000.000
      Allow from 000.000.000.000
      Allow from 000.000.000.000

      2.위의 예제와 마찬가지로 ftp로 고객님의 계정에 접속하신 후 위에서 만드신 [.htaccess]파일을 
      특정아이피로만 접속하게 하려는 해당 폴더안에 집어넣습니다.
       

      ※www폴더아래에 직접 업로드하실 경우 허용된 아이피로만 모든 파일에 외부접속이 가능하게 됩니다. 

  • Q. SFTP(Secure File transfer protocol) 접속을 지원하나요?
    • SFTP(Secure File transfer protocol)는 일반적인 FTP와 달리 PC와 서버간의 데이터 전송을 암호화하기 때문에 

      보다 안전한 호스팅을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카페24호스팅은 안전한 호스팅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기본적으로 SFTP를 지원하고 있으며, 가장 많이 사용되는 
      프로그램 중에 하나인 "FileZilla"로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 FileZilla는 프리웨어로 개인과 회사에서 제약없이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① 먼저 http://filezilla-project.org 로 접속 후 사용하시는 OS에 맞게 다운로드 받으십시오. 

      ※ 다운로드 받으실 프로그램을 오른쪽 마우스로 클릭 후 다른 이름으로 대상 저장(A)을 선택하세요.  
       
      1364285582_97.jpg
       
       ② 설치를 완료 후 프로그램을 실행한 화면 입니다. 

      ※ 만약 메뉴가 영문으로 나온다면 메뉴에서 [Edit] > [Settings] > [Interface settings] 의 Language에서 
           Korean 로 선택하시면 됩니다. 
       
      1364285628_18.jpg
      ③ SFTP로 접속하시기 위해서는 아래 화면과 같이 [사이트 관리자]를 클릭합니다.
       
      1364285675_34.jpg
      ④ "사이트 관리자" 창이 표시되면 [새 사이트]를 클릭하여 접속하시고자 하는 고객님의 호스팅 정보를 입력합니다.
       
       
      1364285714_3.jpg
      ⑤ 입력되는 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호스트(H) : FTP 접속 주소 (고객님 호스팅 계정에 연결된 도메인을 입력하시면 됩니다.) 
      포트 (P)   : SFTP의 포트는 22번이므로 22를 입력합니다. 

      로그온 형식(L) : "보통"으로 선택합니다. 
      사용자 (U)       : 접속하시는 호스팅 계정의 ID를 입력합니다. 
      비밀번호 (W)   : ID의 비밀번호를 입력합니다. 

      ※ 포트번호를 제외한 일반FTP와 접속정보가 동일합니다. 
        -. 일반FTP 포트 : 21 
        -. SFTP 포트 : 22 

      모든 정보를 입력한 후 저장을 위해 [확인]을 클릭합니다.
       
      1364286035_8.jpg
       ⑥ ss1.jpg 메뉴 우측에 있는 ▼ 를 클릭하여 위에서 저장한 리스트를 선택하시면 접속이 됩니다.
       
       
      1364286148_2.jpg
       
      ⑦ 참고로 아래와 같이 좌측 영역은 고객님 PC가 되며, 우측은 접속된 호스팅 계정의 디렉토리가 됩니다.
       
       
      1364286195_5.jpg
       
      업로드하실 파일이 있다면 해당 파일을 선택 후 오른쪽 마우스를 클릭해 "업로드"를 선택하시거나, 
      드래그 앤드 드롭으로 PC의 파일을 선택하여 호스팅 계정으로 옮기시면 업로드가 됩니다. 
       
       
      1364286234_69.jpg 

       ※ 반대로 호스팅 계정의 파일을 선택하여 좌측 PC로 옮기시면 다운로드가 됩니다. 

  • Q. Filezilla 사용법 동영상 강좌
    • Filezilla 사용법 동영상 강좌입니다. 


      강좌보기

  • Q. 회원에 꼭 가입해야 합니까?
    • 로그인을 하지 않거나 회원 가입을 하지 않아도 이용할 수 있는 메뉴가 있습니다.


      다만, 유료강좌는 회원가입을 해야만 이용할 수 있습니다.

      유료강좌는 반드시 회원가입을 해야 결제후 지속적으로 해당 강좌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프로그램도 회원가입이 되어야 결제후 계속 다운로드가 가능합니다.


      로그인 후 이용할 수 있는 메뉴

      • 유료강좌이용
      • 프로그램메뉴 다운로드
      • 프로그램 유료구매
      • 일반샵이용

  • Q. 회원가입후 바로 서비스 이용이 가능 합니까?
    • 네, 회원가입후 바로 서비스 이용이 가능합니다.


      일부 유료서비스는 결제확인후 서비스가 가능합니다.

  • Q. 소셜로그인을 이용해도 회원가입이 필요합니까?
    • 유료서비스는 회원가입이 되어야 지속적으로 서비스가 가능합니다.


      소셜로그인시 회원가입을 하겠느냐는 창이 뜹니다.

  • Q. 도메인이란 무엇인가요 ?
    • 도메인이란 인터넷상의 주소입니다. 

      현실세계에서 우편을 보내려면 보내는 곳과 받는 곳의 주소가 있어야 하는 것처럼, 인터넷 상에서도 원하는 정보를 서로 교환하기 위해서 각각의 컴퓨터를 찾아갈 수 있는 주소가 필요합니다. 인터넷에 연결된 모든 컴퓨터는 각각의 주소를 갖고 있습니다. 이 주소는 203.1.15.211 처럼 점 (.) 으로 구분된 0 에서 255 사이의 숫자들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렇게 숫자로 이루어진 주소를 우리는 IP(Internet Protocol) 주소라고 합니다. 그러나 숫자로 표현된 IP 주소를 기억하는 것은 상당히 어렵기 때문에 알아보기 쉽고 외우기 쉽도록 문자를 사용한 주소를 고안하게 되었습니다. 그렇게 해서 탄생한 것이 도메인 주소입니다. 

       

      아래 도메인에 관한 강좌를 보세요.



      도메인강좌

  • Q. 도메인을 한번 등록하면 사용 (등록) 기간이 어떻게 되나요 ?
    • 도메인의 사용기간 (등록기간) 은 일반적으로 1 년 ~10 년 사이에서 1 년 단위로 사용자가 지정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도메인의 성격에 따라 각각의 도메인을 관리하는 기관이 다르기 때문에 서로 다른 관리정책을 갖고 있습니다.

       

      도메인은 영구적으로 소유할 수 없기 때문에 사용기간을 잘 기억하고 관리를 잘해야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Q. 등록한 도메인을 홈페이지와 어떻게 연결하나요 ?
    • 등록한 도메인을 홈페이지에 연결시키는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도메인 등록 
      2. 홈페이지 제작 
      3. 등록한 도메인을 통해 제작한 홈페이지가 연결되도록 호스팅 서비스 신청  

      도메인 등록정보 중 네임서버 항목이 있는데 정상적으로 홈페이지 서비스를 하기 위해서는 네임서버 정보를 홈페이지 제공업체의  업체 정보(네임서버) 또는 자체 서버 정보로 변경하셔야 합니다. 

  • Q. 도메인의 종류는?
    • 도메인의 종류는 크게 나누어 국가도메인과 국제도메인이 있습니다.

       

      국가도메인은 kr(대한민국), cn(중국), eu(유럽연합), jp(일본) 처럼 해당 국가를 공식적으로 지칭하는 도메인이며,

      국제도메인은 com(회사), net(네트워크), org(기관) 등의 지역에 상관없이 등록/사용되는 도메인입니다.

       

      국제 도메인의 경우 info, biz, tel, name, mobi 등 필요에 따라 지금은 굉장히 많은 도메인을 추가로 지정하여 사용하고 있습니다. 

검색